2024년 04월 24일 수요일
뉴스홈 칼럼(기고)
[기고 - 김대호 리서치플러스 대표/방송인] 비정상을 온전함으로 되돌리는 시대에 직면한 대한민국, 5.16도로명 바꿔야한다

[제주=아시아뉴스통신] 이재정기자 송고시간 2017-01-17 01:49

도민의 이름으로 자주적 개명, 적폐의 해소 시대에 걸맞는 제주도정 기대
한라산 대표 횡단도로인 5.16 도로에서 발생한 차량 전복사고의 모습. /아시아뉴스통신=이재정기자

제주의 도로명 ‘5?16 도로’, 지방도 1131호선 그리고 이전에는 국도 11호선으로 불렸다. 요즘 한라산 횡단도로의 명칭이 정국 상황과 맞물려 논란이 뜨겁다. 논란이 된 것이 이번만이 아닌데다 5.16이 상징하는 것이 승자에게는 혁명이지만 보편적으로 군사 쿠데타이기 때문이다.

국가 권력이 국민에게 나오는 것이라는 헌법을 국가 통치 기반으로 하면서 국민을 억누르는 총의 위압으로 권력을 잡은 것을 어떻게 정당화 하고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도로명으로 쓸 수 있느냐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으로 그녀가 대통령의 자리에 선출된 것이 박정희의 군사 쿠데타의 영향이라는 것이 50여 년 전에 건설된 도로명이 지금에 와서 논란이 재연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미 지난해 언론사 조사에서 87.3%가 도로명을 변경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있고, 실제로 도로명 기념비에 낙서를 한 사례가 발견되고, SNS 상에서 국민행동이라는 이름으로 분노 표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설사 이번에 어떻게 유야무야 된다고 해도 정당성이 없는 도로명의 논란은 언제든 고개를 내미는 두더지 게임과 같이 대두될 것이다.

 유럽의 거리를 보면 친숙한 사람 이름이 거리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 많이 이용하는 거리에 사람의 이름을 붙이는 것은 그 이름이 주는 상징성과 존중의 표시이며 본받으려는 노력이다. 해당자에게는 영광이며 가문에게는 자랑거리다.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며 교육적으로는 살아있는 교육자원이다.

도로 이름이 단순히 구분의 기능만 하는 것일까? 누군가의 이름을 지을 땐 그 사람을 낳고 기른 사람의 소망이 들어 있을 것이고, 그 이름을 붙인 내력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름은 그 사람의 인생을 대변하는 긴 인생소설의 제목이며 압축이다. 또한 도로 이름도 경제적으로 스토리텔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5.16 도로의 스토리를 살펴보자. 1932년 임도로 쓰이다가 태평양 전쟁말기에는 물자운송을 위해 도로가 건설되고 1956년 한라산 횡단도로의 필요성으로 정비가 시작되다가 1962년 당시 김영관 도지사는 박정희 군사정부에 건의해 장비와 국토건설단 인력을 지원받아, 너비 6m, 포장 폭 4m, 총길이 41.16km ... 세주와 서귀포를 횡단하는 포장도로를 1969년에 준공하게 된다.

  박정희 대통령의 철권통치에 의지한 바가 적지 않다. 그렇다고 도로명 또는 이름이 갖는 상징성의 원리를 희석시킬 수 없다. 적어도 시대가 바뀌고 세대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서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5?16 도로의 명칭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명칭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도로의 관리권이 지방으로 넘어온 이상 제주도민들이 원하는 사항이라면 구시대의 적폐를 들어낸다는 측면에서 그 이름을 바꾸는 것이 좋다.

개인의 이름도 듣기에 이상하다면 이름을 바꿀 수 있게 제도화 시켜 주위에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름 바꾸는 것 가지고 사회적 혼란을 일으킬 필요 없이 적당한 합의를 찾고 그에 걸맞은 도로명의 의미를 확인해 제시한다면 잠시 익숙하지 않은 일로 인한 불편도 감수할 만하지 않을까?

 익숙하다는 이유로 불편한 이름을 계속해서 사용해야 한다면 또 그 또한 역사이니 그대로 놔두자고 한다면 그것을 용인하는 시간의 길이에 비례해 우리사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시대 지도자들의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려놓는 시대에 살고 있다. 모든 공공의 문제에서 적폐를 들어내는 설계가 절실한 시대에 현실에서 뭔가 이루어 졌다는 기쁨이 정유년 벽두 새벽을 깨우는 붉은 닭의 울음소리가 되어 퍼져나갔으면 한다.

※사외 기고는 본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외 기고는 본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