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뉴스홈 사회/사건/사고
독립운동가 학초 안종달 선생 건국포장 수훈

[경남=아시아뉴스통신] 손임규기자 송고시간 2018-08-27 13:41

독립운동가 학초 안종달 선생 건국포장 수훈

경남 밀양시는 제73주년 8·15 광복절을 맞아 독립운동가 학초(學初) 안종달(1878년 11월12일 ~ 1929년 3월2일)선생이 건국공로훈장(건국포장)을 수훈했다고 밝혔다.

파리장서(巴里長書)로 국권침탈에 항거했던 안종달 선생의 독립유공의 발자취는 오랜기간 동안 진외증손(이기창, 무안면 내진)의 수년간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조국광복을 위한 위업이 밝혀지게 됐다.   

구한말 홍문관시강(왕과 동궁의 교육담당)을 지내다가 간도로 망명 후 항일운동을 계속한 대눌 노상익 선생과 단장면 자암서당을 근거지로 항일정신으로 선비의 지조를 밝힌 소눌 노상직 선생의 생질로서 자암서당의 연장 제자로 동학, 사제들과 함께 일제의 국권침탈에 항거하다가 소눌과 함께 옥사를 겪은 후 병사했다. 

파리장서사건은 1919년 1차 세계대전 이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평화회의에서 조선 유림대표 137인이 연명으로 일제의 국권침탈을 국제사회에 고발하고 독립국가 조선의 위상을 밝힌 구한말 선비중심의 독립운동으로 이 사건 이후 일제는 서명자를 일제 투옥하고 관련자를 일본 고등경찰요사에 등록해 그 가족들까지 경찰의 요시찰 인물로 감시하게 했다.

학초선생은 소눌의 제자 13인을 규합해 단장면 풍뢰정에서 파리장서 서명에 앞장섰다.

선생은 이 일로 밀양헌병대에 이첩돼 갖은 고초를 겪으면서도 '망국의 선비지만 나라를 생각하는 도리를 잊지 말자'고 사제들을 지도하는 등 의연함을 보였다고 소눌장서(밀양박물관 소장)에 기록돼 있다. 

밀양시 관계자는 "선비의 충절과 지조의 고장 밀양에서 높은 기개로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안종달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시민 모두가 계승 발전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