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주시의회 ‘청주시 미세먼지 원인.실태 관련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이영신.왼쪽 네 번째)’가 1일 금강유역환경청을 방문해 강내면 연정리에 신설예정인 소각장의 소규모환경영향평가 부동의를 요구하는 촉구문을 전달하고 있다.(사진제공=청주시의회) |
충북 청주시의회 ‘청주시 미세먼지 원인.실태 관련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가 1일 금강유역환경청을 방문해 강내면 연정리에 신설예정인 소각장의 소규모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부동의 촉구문을 전달했다.
미세먼지특위는 “청주시는 전국 폐기물 소각시설 용량의 18%를 차지하고 있어 이미 환경 용량을 초과하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실정임에도 추가로 청주시에 소각시설 신.증설이 허가되면 미세먼지와 대기오염으로 주민의 복리가 더욱 침해되고 인구유출이 발생하며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연정리에 ㈜대청그린텍이 추진 중인 소각시설이 허가되면 소각장이 매일 24시간 가동하고 수많은 폐기물 차량의 운행으로 대기오염과 소음이 발생해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종인 수리부엉이, 수달, 삵 등 법정 보호종 등 주변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서식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음에도 사업자는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특위는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인근은 지금도 재활용업체나 축사 등 악취로 고통을 겪고 있는 지역으로, 대청그린텍은 소각시설보다 악취 배출 발생이 더 심한 건조시설이므로 인근지역 정주여건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위는 지하수의 경우 “주민들이 사용하기에도 부족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대청그린텍에서 1일 99.6t이라는 대량의 지하수를 매일 뽑아서 사용할 경우 주변의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부족사태가 예상되고 대량의 지하수 사용으로 지반침하가 발생하면 불과 15m 정도 떨어진 고속철도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지상 6층 높이의 건축물이 고속철로 쪽으로 무너질 경우 고속 운행 중인 고속철도 이용객의 대형 인명사고가 우려된다”고 했다.
특위는 특히 “소각시설 부지 반경 5㎞ 이내에는 11개 교육시설이 위치하고 있다”면서 “발암물질 Cr+6(육가크롬)이 기준치의 5.32배, Cd(카드뮴)은 기준치의 2.5배를 초과하고, 이전에는 검출되지 않던 비소와 수은이 새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히 대기오염에 취약한 어린 학생들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