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가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사과 등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사진제공=영동군청) |
금강 상류 용담댐의 홍수 수위조절로 피해를 입은 영동·옥천·금산·무주군민 300여명이 항의집회를 가졌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임구호)는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영동군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지사에서 용담댐 방류량을 초당 2900톤으로 늘리면서 금강변의 양산면, 양강면, 심천면 일원의 농경지 169ha와 주택 55채가 침수됐다.
이들 피해지역에는 이달 6일부터 8일까지 고작 평균 53mm에 불과한 강우량을 보였을 뿐이란 게 피해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집회에 참가한 주민들은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청사 마당에 버리며 피해 주민들의 울분과 그 희생의 대가에 진지하게 경청하고 피해에 대한 보상과 재발방지대책을 요구했다.
용담댐 방류 피해에 대한 보상은 도 경계를 뛰어넘어 지자체와 주민이 공동 대응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18일에는 영동군청 대회의실에서 영동·옥천·금산·무주군수와 군의장이 범대책추진위원회(위원장 박세복 영동군수) 출범식을 갖고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에 따른 입장문을 발표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