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대통령실) |
[아시아뉴스통신=서승희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두 번째 재판이 시작됐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21일 오전 10시부터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 두 번째 공판을 진행 중이다.
![]() |
서울중앙지방법원./아시아뉴스통신 DB |
윤 전 대통령은 오전 9시 57분께 법정에 들어서 피고인석에 앉았다.
취재진의 카메라 촬영으로 곳곳에서 플래시가 터졌지만, 윤 전 대통령은 카메라를 쳐다보지 않고 굳게 입을 다문 채 맞은편 검사석만 응시했다.
![]() |
(사진제공=대통령실) |
한편,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밤 긴급 브리핑을 열고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회의원들은 곧바로 국회에 모여 본회의를 열었고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 |
국회 전경./아시아뉴스통신 DB |
이날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은 브리핑을 통해 비상계엄 해제를 선언했다.
![]() |
아시아뉴스통신 DB |
이후 야당은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7일 진행된 1차 표결에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부분 불참해 개표는 이뤄지지 않았고 폐기됐다.
그러나 14일 2차 표결에서는 재석 300명 중 찬성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통과됐다.
![]() |
(사진제공=공수처) |
이후 공수처는 1월 15일 윤 전 대통령을 체포했다.
공수처는 내란 우두머리(수괴)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윤 전 대통령에게 세 차례 출석을 요구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불출석한 바 있다.
![]() |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후 공수처는 17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서울서부지방법원 차은경 부장판사는 19일 "피의자가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23일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26일 윤 전 대통령을 구속기소 했으나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3월 8일 석방됐다.
![]() |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후 헌법재판소는 지난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윤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