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오세훈 SNS) |
[아시아뉴스통신=장희연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AI 3대 강국, 우리도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지난 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세계 AI 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켰다. 연구 인력 139명 뿐인 작은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이뤄낸 혁신이다. 천문학적인 투자나 거대 기업이 아니더라도 경쟁력 있는 AI 혁신을 이룰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라고 적었다.
오세훈./아시아뉴스통신 DB |
이어 "저는 여기서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진입의 희망을 본다. 우리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와 뛰어난 개발자들, 혁신을 갈망하는 젊은 인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서울시 역시 진작부터 '서울을 AI 실증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실제 서울시정과 생활 정책에 AI를 접목시키며 글로벌 AI 강국으로 가는 길을 닦아왔다."라며 "이번 달 11일 열리는 서울시 국제콘퍼런스 ‘AI SEOUL 2025’를 계기로 ‘AI와 동행하는 서울’의 비전을 밝히고, AI 중심 도시로 발돋움할 서울시의 계획을 말씀드릴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AI 강국으로 가는 길의 가장 큰 과제는 아낌없는 투자와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AI와 IT분야 인재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온 바 있다. 그 결과 3000명 이상의 누적 취업자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제 청년취업사관학교를 명실상부한 AI 인재 양성의 핵심 기관으로 업그레이드하여 매년 4천명의 인재를 배출할 것이다. 또한 서울시의 대학캠퍼스타운 사업과 연계하여 서울 소재 각 대학에서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6천명의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사진출처=오세훈 SNS) |
이어 "‘AI 인재 1만명 양성’을 서울시가 실현하겠다. 서울시 디지털재단도 시대의 변화에 맞게 AI 중심의 기관으로 재탄생하여 서울의 AI 도시 비전에 부응할 수 있게 하겠다. AI 3대 강국 진입은 먼 얘기가 아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최선을 다해 기업에 날개를 달아주고, AI 인재 양성에 모든 힘을 쏟아붓는다면 우리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전 세계가 AI 패권 경쟁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때, 이재명 대표는 AI 혁신의 기반이 될 반도체특별법 처리를 놓고 ‘토론회’를 주재하겠다며 또다시 시간을 끌고 있다. AI 3대 강국으로 가는 골든타임을 정치 공방으로 허비할 순 없다. 이제는 여야를 떠나 모두가 AI 혁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서울시가 앞장서서 그 길을 열어가겠다."라고 전했다.